본문 바로가기

서울 여행68

『 서울 축제 』 묘현례 묘현례 묘현례(廟見禮)는 왕비나 세자빈이 왕실 혼례를 마친 후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가 모셔진 종묘를 알현하는 의례로, 조선시대 국가의례 중 왕실 여성이 유일하게 참여한 의례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깊다. 「2023년 종묘 묘현례」에서는 1703년에 행해진 인원왕후의 묘현례를 창작극과 의례재현을 결합한 새로운 공연 콘텐츠로 재구성하여 관람객들에게 선보인다. 완연한 봄, 뜻깊은 왕실 행사에 여러분들을 초대한다. [행사내용] 1. 일시 : 2023. 4. 28.(금) ~ 5. 1.(월), 11:00~17:00 / 공연 (1부) 13:00, (2부) 16:00 2. 장소 : 종묘 영녕전 3. 관람료 : 무료(종묘 입장료 1,000원 별도) 4. 사전예약 오픈 : 2023. 4. 21.(금) 14:.. 2023. 4. 15.
『 서울 축제 』 경복궁 생과방 경복궁 생과방 생과방은 생물방(生物房) 혹은 생것방이라고도 불렸는데, 조선 시대 왕실의 별식을 만들던 전각이었다. 이번 행사는 관람객이 궁중의 약차와 병과를 맛보며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특별한 프로그램이다. 「경복궁 생과방」은 정조 19년(1795)에 제작된『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기록에 등장하는 ‘낮에 올리는 다과상’인 주다(晝茶)를 올리던 때에 맞추어 행사시간을 구성했다. 기록에 따르면, 다과상을 다소반과(茶小盤果)라 하고, 올리는 때에 따라 조다(早茶: 새벽), 주다(晝茶: 낮), 만다(晩茶: 늦은 오후), 야다(夜茶: 밤)로 구분하고 있는데,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 사이 ‘낮에 올리는 다과상’인 주다(晝茶) 때 가장 많은 종류의 병과(6~9종)가 올려졌다고 한다. *「원행을묘.. 2023. 4. 15.
『 서울 축제 』 서울페스타 2023 서울페스타 2023 꽃 피는 새봄 서울 전역이 K-팝 공연부터 음식, 쇼핑, 야경 등을 즐길 수 있는 거대한 축제의 장으로 변신한다. 4월 30일부터 5월7일까지 총 8일간 광화문 광장 및 잠실종합운동장 등 서울 전역에서 '서울페스타 2023'가 개최된다. 올해 서울페스타 2023은 서울의 매력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체험형 축제로 기획됐다. K-팝 공연, K-스타일, 음식, 한강 드론라이트쇼, 명동 페스티벌 등 다채로운 체험의 장이 마련된다. [행사내용] 「서울페스타 2023」는 축제의 서막을 여는 K-팝 콘서트(잠실 올림픽 주경기장)에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류스타들을 만날 수 있으며, 서울페스타의 하이라이트인 초대형 체험형 서울관광 종합안내소, '광화문 서울 컬처 스퀘어'에서 드라마, 뷰티, 패션.. 2023. 3. 20.
『 서울 축제 』 서울지식이음축제∙포럼 서울지식이음축제∙포럼 서울도서관의 삶과 지식으로의 확장. 시민들의 일상과 조우하는 서울지식이음축제∙포럼이 2022년도에는 시민들이 기획하고 참여하는 축제로 확장되어 진행된다. 사람, 세상의 연결, 지식, 문화의 변화와 창조는 예상치 못한 사소하고 우연한 맞닥뜨림에서 시작될 수 있다. 올 해 10주년을 맞은 2022 서울지식이음축제∙포럼은 축제 고유의 속성인 한시성, 일탈성과 지식이음축제가 지향하는 연결의 가치를 통해 개개인에게 삶의 우연한 조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새로운 세계관과 라는 부제 아래 자원활동가 '도돌이', 축제참여자 '도달이', 축제운영진 '사공'이 모였다. 축제 프로그램으로는 '지도에는 없는 지도'와 '봉인해제', 포럼으로는 '삶은 이야기'와 '무리산책'이 진행된다. 10월 28일에는 서울.. 2022.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