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복궁18

『 서울 축제 』 경복궁 생과방 경복궁 소주방 전각에 위치한 '생과방'은 궁중의 육처소(六處所) 가운데 하나이며, '국왕과 왕비'의 후식과 별식을 준비하던 곳으로 '생물방'이라고도 불렸다. 경복궁 생과방 프로그램은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토대로 실제 임금이 먹었던 궁중병과와 궁중약차를 오늘날에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유료 체험 프로그램이다. 행사 내용 1. 궁중병과 및 궁중약차 시식체험(1일 4회) - 1회 10:00~11:10(70분) - 2회 11:40~12:50(70분) - 3회 13:50~15:00(70분) - 4회 15:30~16:40(70분) 상세 정보 시작일 2024. 4. 17 종료일 2024. 6. 24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연락처 1522-2295 주최 및 주관 문화재청 / 한국문화재재단 이용요금 유료.. 2024. 4. 20.
『 서울 축제 』 경복궁 별빛야행 경복궁 별빛야행 봄 깊은 밤, 경복궁에서 은은한 별빛 아래 경복궁 소주방에서 국악공연을 즐기며 임금님의 수라상을 맛보고, 전문해설사와 함께 경복궁 별빛산책을 떠날수 있다. [행사내용] 경복궁 별빛야행은 궁중음식체험과 국악공연을 즐기며, 경복궁 북측권역을 야간 탐방하는 프로그램 입니다. 1) 경복궁 외소주방 (도슭수라상 궁중음식체험과 국악공연 관람) 2) 경복궁 장고 (장고마마와 나인의 작은 극 관람) 3) 경복궁 집옥재/ 팔우정/ 건청궁 (전각 및 내부 설명) 4) 경복궁 향원정 (취향교 건너 특별 관람) 상세 정보 시작일 2023. 4. 15 종료일 2023. 5. 13 전화번호 1522-2295 홈페이지 https://www.chf.or.kr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행사장소 경복궁 주최.. 2023. 4. 24.
『 서울 축제 』 경복궁 생과방 경복궁 생과방 생과방은 생물방(生物房) 혹은 생것방이라고도 불렸는데, 조선 시대 왕실의 별식을 만들던 전각이었다. 이번 행사는 관람객이 궁중의 약차와 병과를 맛보며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특별한 프로그램이다. 「경복궁 생과방」은 정조 19년(1795)에 제작된『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기록에 등장하는 ‘낮에 올리는 다과상’인 주다(晝茶)를 올리던 때에 맞추어 행사시간을 구성했다. 기록에 따르면, 다과상을 다소반과(茶小盤果)라 하고, 올리는 때에 따라 조다(早茶: 새벽), 주다(晝茶: 낮), 만다(晩茶: 늦은 오후), 야다(夜茶: 밤)로 구분하고 있는데,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 사이 ‘낮에 올리는 다과상’인 주다(晝茶) 때 가장 많은 종류의 병과(6~9종)가 올려졌다고 한다. *「원행을묘.. 2023. 4. 15.
『 서울 축제 』 궁중문화축전 궁중문화축전 ‘궁중문화축전’은 대한민국의 대표 문화유산인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창경궁, 경희궁 5대궁과 종묘, 사직단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국내 최대 문화유산 축제이다. 2014년 시범사업을 거쳐 2015년부터 정식 개최된 궁중문화축전은 '오늘, 궁을 만나다'라는 슬로건 아래 매년 각 고궁의 장소성과 역사성을 활용한 공연, 전시, 체험, 의례 등의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2020년부터 축제 공간을 고궁 밖으로 확장하여 비대면, 온라인 특화 콘텐츠를 함께 공개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오프라인 행사 기간을 확대하여 매년 5월 ‘봄 궁중문화축전’과 10월 ‘가을 궁중문화축전’으로 연 2회 관람객에게 특별한 시간을 선사한다. [행사내용] 개막식, 고궁특화 뮤지컬, 시간여행 프로젝트 1743(가.. 2023. 2. 22.
반응형